사단법인 로아트가 운영하는 대야미스튜디오에서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공간 ‘큰배미곳아트센터’ 모델링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대야미스튜디오에서 작업하고 있는 발달장애 창작자들과 각자가 상상하는 아트센터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공간을 모형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본 원고는 그 과정을 마친 후 쓴 글입니다.

 

 

 

2020 '큰배미곳아트센터’ 모델링 워크숍

 

총괄. 이지혜
진행. Alpha.lee, 조영환
사진. 양승욱
기록. 고륜호
자문. 김성화(건축사사무소 연화)
지원. 이설희
협력. 창작그룹 비기자

 

 

 

 

 

게임, 팔굽혀펴기, 어린이 노래, 수안보, 예방접종, 순대곱창, 동물의 숲의 공존?

 

최선영 / 창작그룹 비기자 대표

 

 

‘모두의’ 공간이란 무엇을 전제할까. 최근 ‘모두’에게 열린 기획들이 문화예술 분야에서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큰배미곳 아트센터> 모델링 워크숍 역시 ‘모두의’ 공간을 전제로 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장애인을 사용자의 중심에 두었던 건축적 요소, 공간적 특성 등으로부터 벗어나 발달장애인 창작자도 편안하게 오고 갈 수 있는. 그런데 이것은 막연하게 더 다양한 사람들이 올 수 있는 공동의 공간, 모두의 공간을 상정하고 있었다. 여러 사람들의 필요와 욕구가 동시에 반영될 수 있는. 이러한 관점은 사회적 의미와 공공성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유니버설 디자인도 이와 같은 측면에서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공동의 가치가 대두되고 있고 실제로 그것이 중요함에도 매우 개인적인 취향, 욕구, 필요, 가치관, 관심사 등이 동등하게 등장할 수 있는 환경이란 사실상 쉽지 않다. 그럼에도 본 워크숍은 이와 같은 어려움을 적극 끌어안고 진행된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은 진행자가 워크숍 내내 참여자들의 개인적인 의견이나 일상을 집요하게 묻고 확인했던 과정을 통해 드러난다.

특히 첫 시간에는 참여자들이 대야미스튜디오로 오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는데 진행자는 놀이카드를 이용해 일상적인 동선을 세세히 들여다보고 기록했다.

 

 

 

- 진행자 : 각자 몇 장의 카드를 나눠드릴 거예요. 카드에다가 아침에 일어나서부터 여기, 로아트에 오기까지 어떤 것을 했는지 알려주세요.

- 참여자1 : 저는 이렇게 썼어요. 어제 있었던 일이긴 한데 매일 이렇게 반복돼요. 제 패턴이에요. 오기 전에 게임을 했어요. 컴퓨터 게임이요. 그림 그리러 오기 전에 게임하고 왔어요.

- 진행자 : 게임 말고는 뭘 했어요? 게임밖에 안 했어요?

- 참여자1 : 점심 먹었어요. 점심. (점심을 먹었다는 내용을 계속 적는다.) 밥 먹고 나서 휴식을 취하고 게임을 해요. 게임. 쉬는 시간에 게임을 해요.

- 참여자2 : 저는 공부를 하고 싶었어요. 노래도 하고 싶었어요. 제목은 <어린이 노래>. 집에서 잘 놀고 있었어요. 재미있었어요. 병원에도 가요.

- 진행자 : 노래는 집에서 부르는 거예요?

- 참여자3 : 집에서 노래를 해요. 노래를 부르고 싶어서 노래를 불러요. 두 팔 벌려 하늘 높이... 잠을 잡니다. 마무리입니다.

 

진행자는 발달장애가 있는 참여자들이 혹시나 답변하기를 어려워할까 봐 질문을 조금만 하거나 단순하게 바꾸지 않았다. 오히려 참여자들이 스스로 더 자세하게 생각하고 표현하도록 끊임없이 질문을 던졌다.

두 번째 시간에는 워크숍이 끝난 후의 일과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다.

 

- 진행자 : OO씨는 로아트가 끝나고 나서는 하고 싶은 게 뭔가요?

- 참여자4 : 팔굽혀펴기 하고 싶어요. 집 가서 운동해야 해요.

- 진행자 : 어떤 팔굽혀펴기를 몇 번 하고 싶어요? 팔굽혀펴기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잖아요. 그것도 한번 생각해봐요.

- 참여자4 : 50번 할 거예요. 팔굽혀펴기.

 

- 참여자5 : 로아트 끝나고 수안보 가고 싶어요. 수안보.

- 진행자 : 수안보가 어디에 있어요?

- 참여자5 : 상록수역에 수안보. 상록수역 옆에 수안보가 있어요.

 

- 진행자 : **씨는 예방주사를 맞고 싶어요? 예방주사는 어디서 맞아요?

- 참여자6 : 병원에서. 끝나고 병원 가요. 순대볶음 만들고 싶어요.

 

- 진행자 : @@씨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고 적었네요. 어떤 그림을 그리고 싶어요? 어떻게 그리고 싶어요? 그런 것도 자세히 적어줘요. (생략) 애니메이션도 보고 싶고 닌텐도 게임도 하고 싶다고 적었네요. ‘동물의 숲’ 할 거죠? 그러면 ‘동물의 숲’에서 뭘 하고 싶어요?”

- 참여자7 : 어떻게 아셨지? 저는 ‘동물의 숲’에서 자연 친화적인 대도시를 만들 거예요.

 

여기에는 참여자들이 발달장애인이라 하더라도 각자의 언어와 방식으로 답변할 것이라는, 그리고 세세한 답변도 해봐야 한다는 진행자의 생각이 작용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이것은 큰배미곳 아트센터를 상상하는 데에 어떤 역할을 할까.

 

한 개인의 일상을 쪼개어 살펴보는 것은 공동의 공간에 대한 접근을 개별적 삶으로부터 시작해보려는 의도와도 연관된다. 이것은 각기 다른 일상으로부터 공통점을 도출하기 위함이 아니라 각자의 삶이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를 주목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모두의 공간, 공동의 공간을 상상해보는 것에 있어서 개별성의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살피고자 했던 것이다. 이것은 빠르고 효율적으로 공간을 설계하는 과정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접근이기도 했다. 하지만 가상의 공간을 함께 그려본다는 워크숍의 취지를 전제할 때, 이러한 과정은 문화적, 예술적 의미에서 반드시 필요한 시간이기도 했다. 실제화하기 적절한 규모와 시설을 판단하기 위해서 본 워크숍이 기획되었던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 워크숍을 통해 우리는 인간의 개별성과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는 공간이자 장소에 있어서 우리가 무엇을 들여다볼 수 있을지 생각하게 되었을지 모른다. 그리고 (비장애인의) 예상보다 발달장애인이 한 공간을 사이좋게 나눠 쓰거나 공존을 꿈꾸지는 않는다는 것도 발견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혼자 좋아하는 것에 집중해보고 싶어 했고 그 시간이 집 밖에서의 공간에서도 조금이라도 확보되기를 바라기도 했다.

 

문득 ’모두의‘ 공간은 모두의 ‘무엇까지’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일지 질문이 생긴다. ‘모두’라는 말도 ‘매우 다른 개별자들’이라고 풀어서 표현해보고 싶어진다. 그렇다면 매우 다른 개별자들의 무엇까지 우리는 고려하고 있었을까. 낯설거나 익숙하지 않은 취향, 반복적인 행위, 매우 큰 혹은 작은 목소리, 생각을 읽기 어려운 침묵, 비언어적인 표현 등도 그 ‘무엇’ 안에 적극적으로 포함되어 존중받을 수 있을까. 그것을 하나하나 뜯어보고 난 후에 개별성의 스펙트럼이 너무 넓어서 난감해진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구조물, 동선, 규모, 재질까지도 떠오르게 했던 건축 관련 워크숍에서 우리는 어디로 얼마나 뻗어나갈지 모를, 그래서 매우 인간적인 요소들을 확인했다. 이제 그 요소들이 안전함과 안정감을 위해 각자의 특성을 적당히 제어하는 일 없이 불쑥불쑥 등장할 수 있는 공간을 생각해본다. 이것은 몸이 불편한 사람이 잘 이동할 수 있고 편리하게 생활하게 되는 것과는 다른 차원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기도 하다. 사람은 불편함을 줄이는 것만으로 삶의 의미를 갖게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워크숍은 누가 누군가의 불편함, 불평등을 해소해주기 위해서 기획, 진행한 것은 아니었다. 그렇다면 무엇을 위해서 우리가 함께 시간을 보내고 각자의 일상을 각자의 목소리로 애써 표현해보았을까.

 

공간 혹은 장소는 이러한 의미를 구체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적절한 주제였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동시에 언제든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논리로 흐를 수 있는 주제이기도 했다. 필요한 것을 만들(어주)면 된다는 생각이 우리에게는 더욱 익숙하니까. 하지만 우리는 실제적 계획이 당장 필요하지 않은 불명확함 안에서 이 워크숍을 진행했고 그렇기에 더욱 실험하고 사유할 수 있었다. 더 많이 물어보고 더 빗나가게 답변할 수 있었다. 많이 자주 빗나가서 그 간극이 어떤 지점에서 어떻게 발생하는지도 살필 수 있었다. 이제는 우리가 집중했던 것들과 현실과의 연계 지점을 찾아볼 것인지, 혹은 조금 더 뻗어나가 질문해볼 것인지 또 다른 시작점에 서 있다. 현재 충분하지 못한 것은 무엇일까. 지금 여기에서 보게 된 것을 다시 보자.

 

+ Recent posts